튜토리얼9 c# Unity 유니티 튜토리얼 테트리스 만들기 07. 블럭 삭제 Part01 블럭이 한 줄 완성 시의 블럭 삭제 부분을 구현해보도록 합시다. 우선 블럭이 삭제되었을 때의 각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위 파일을 압축풀어서 Resources 폴더에 넣어줍니다. 1. 우선 블럭이 어딘가에 고정이 되었다면 고정된 블럭들을 담아둘 리스트를 하나 작성합니다. BoardComponent에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합니다. 2. BoardComponent 리스트에 블럭을 추가하는 함수를 작성합니다.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도록 public으로 작성합니다. 3. 블럭이 고정 시 블럭 배열을 체크하여 가로로 완성된 줄이 있는지 검색하는 함수를 작성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ldenegg 골든 에그 - Google Play .. 2024. 4. 1. c# Unity 유니티 튜토리얼 벽돌깨기(arkanoid) 2. 패들 이동 1.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 후 SpriteRenderer를 추가합니다.2. 패들 이미지 파일을 선택 후 SpriteMode를 Mutiple로 변경. PixelsPerUnit을 32로 설정 후 SpriteEditor 버튼을 누릅니다.3.Slice 타입을 Grid by Cell Count로 변경하고 Row를 6으로 설정 후 Slice버튼을 누릅니다.4. 자른 이미지 파일을 선택 후 0번 이미지를 SpriteRenderer에 연결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ldenegg 골든 에그 - Google Play 앱수박 게임류의 머지 게임입니다.play.google.com 5. 패들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보다 앞쪽에서 그릴수 있도록 Spr.. 2023. 10. 19. c# Unity 유니티 튜토리얼 테트리스 만들기 06. 생성될 다음 블럭 설정 1. 게임 오브젝트를 하나 생성 후 다음 이미지를 보여줄 SpriteRenderer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위치를 아래 이미지와 같이 잡아줍니다.2. 보여줄 이미지와 추가한 SpriteRenderer 컴포넌트를 담아둘 배열과 변수를 BlockSpawnComponent에 추가해주고, 다음 생성될 블럭의 인덱스 역시 변수로 추가합니다. 3. NextBlock 메소드를 작성합니다.4. SpawnBlock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ldenegg 골든 에그 - Google Play 앱수박 게임류의 머지 게임입니다.play.google.com 5. Start 메소드 역시 수정해줍니다. 6. 유니티 에디터에 노출된 .. 2023. 9. 25. c# Unity 유니티 튜토리얼 테트리스 만들기 04. 블럭 보드 생성 및 블럭 테트로미노 블럭의 현재 위치에 따른 보드 상에서의 위치를 추가해보도록 합시다.20x10의 보드 판위를 블럭이 이동하며 배치가 됩니다.블럭이 이동 시 보드를 체크하여 다른 블럭이 이미 있다면 해당 위치에 블럭이 고정되고 보드에 해당 위치에 블럭이 있는 상태로 변경해줍니다.1. TetrominoMoveComponent 스크립트를 열어 블럭이 보드 상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 수 있도록 Vecto2 변수를 추가합니다.2. 좌우 이동 시 pos.x 아래로 이동 시 pos.y의 값을 변경합니다. 3. 유니티 에디터에서 임시로 블럭의 초기 위치와 보드상에서의 위치를 입력합니다.4. ㅜ 의 경우 네 개의 블럭이 하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현재의 블럭은 한개의 포지션만을 가지고 있는데 블럭 갯수만큼 실제 오브젝트를 구성해.. 2023. 9. 21. c# Unity 유니티 튜토리얼 테트리스 만들기 03. 테트로미노 블럭 회전 블럭의 회전을 구현해봅시다. 1. TetrominoMoveComponent 스크립트를 열고 블럭의 회전 각도를 판별할 열거문을 추가합니다. 각도에 따라 이미지의 보정치를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2. 추가한 열거문을 클래스 내부에 변수로 추가하고 각도 따른 보정치를 넣어줄 Vector2 배열을 추가합니다. 3. 생성한 블럭 오브젝트를 프리팹 파일로 만들고 해당 프리팹 파일을 복제하여 나머지 블럭들도 생성합니다. 4. 생성한 블럭을 더블 클릭하여 프리팹 파일을 열어준 후 이미지를 바꿔준 후 앞서 이미지에 따른 중심축과 공백을 작업하지 않았다면 함께 해줍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ldenegg 골든 에그 - Google Play 앱수박 .. 2023. 9. 18. c# Unity 유니티 튜토리얼 테트리스 만들기 01. 프로젝트 생성 및 배경 설정 1. 2D 템플릿으로 Tetris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2. Game 창에서 해상도 비율 920 x 1080 추가하고 변경합니다.3. 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름을 BackGround라고 변경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ldenegg 골든 에그 - Google Play 앱수박 게임류의 머지 게임입니다.play.google.com 4. 생성한 오브젝트에 이미지를 그릴 SpriteRenderer 컴포넌트를 추가합니다.5. 배경 이미지를 SpriteRenderer 에 연결합니다. 배경 이미지는 아래에 첨부파일이 있습니다.6. 배경 이미지의 블럭 이동 부분을 씬뷰의 그리드 20x10에 사이즈를 맞춰줍니다. 아래의 이미지 처럼 사이즈를 .. 2023. 9. 14. c# Unity 유니티 똥 피하기 튜토리얼 08. 플레이 타임과 최고 기록 저장 플레이 타임과 오래 살아남은 시간의 저장을 구현해봅시다. 1. 새로운 게임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름을 GameManager라고 합시다.2. GameManager라는 이름으로 스크립트를 추가합니다.3. UI 텍스트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하이어라키 창에서 오른쪽 마우스 -> UI -> Legacy -> Text 4. 텍스트 오브젝트를 생성 후 이름을 TimeText로 변경합니다. 그 후 아래 이미지 빨간 부분의 앵커를 눌러 텍스트의 축 위쪽으로 변경합니다.5. 텍스트의 위치를 수정하고 이미지처럼 설정합니다. 색상과 폰트 사이즈와 폰트의 위치는 원하시는대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ldenegg 골든 에그 - Goog.. 2023. 9. 13. Unity 유니티 똥 피하기 튜토리얼 02. 배경과 케릭터 이동 제한 배경 이미지의 작업과 케릭터의 위치 및 케릭터가 화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좌우측 충돌 처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이미지 파일은 제일 아래에 있습니다. 1. 게임 오브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이름은 Stage로 변경합니다.2. Stage 게임 오브젝트를 부모로 아래에 배경 이미지가 들어갈 게임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자식으로 만듭니다. 3. BG 게임 오브젝트에 이미지를 그려줄 스프라이트 렌더러 컴포넌트를 추가합니다. 배경으로 쓸 이미지를 Sprite 변수에 드래그 & 드랍 또는 셀렉트 창에서 선택을 합니다.4. 배경의 y축을 2.6으로 합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ipiriGameStudio.AvoidHero Avoid Hero - Go.. 2023. 9. 5. Unity 유니티 똥 피하기 튜토리얼 01. 케릭터 이동 Move 유니티로 똥 피하기 튜토리얼 첫번째케릭터의 이동을 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아직 유니티가 설치되지 않으신 분들은먼저 유니티 설치부터 하시길 바랍니다.2022 버젼의 유니티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https://ks-factory.tistory.com/70 Unity hub 및 unity 설치 유니티이번 포스팅에선 Unity hub(유니티 허브) 와 unity(유니티)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니티 허브는 모든 유니티 프로젝트 및 설치를 관리하도록 도와주는 관리 툴입니다. 허브를 이용ks-factory.tistory.com 본격적으로 게임 제작을 진행해봅시다.1.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2D 코어 템플릿을 선택. 프로젝트의 이름과 프로젝트의 위치를 선택해줍시다.2. 게임의 해상도를 720 x .. 2023. 9. 4. 이전 1 다음 반응형